리눅스
Linux chmod 및 chown 명령어
paletteCode
2021. 2. 4. 12:11
chmod(change file mode bits)의 약자로 8진수로 파일 및 디렉터리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다.
# chmod [옵션] [모드] [파일 또는 디렉터리] ex) chmod -R u=rwx,g=rx,o=r project ex) chmod -R 754 project |
- R옵션은 디렉터리 때 사용.
유저 지정
유저 지정 | 의미 |
u (the user who own) | 소유자로 권한 지정 |
g (group) | 파일소유 group의 소속된 유저 권한 지정 |
o (other users) | 기타 다른 유저 권한 지정 |
a (all users) | 모든 유저 지정(u,g,o) |
문자 및 8진수 모드로 권한 지정
문자 모드 | 8진수 모드 | 의미 |
r (read) | 4 | 읽기 |
w (write) | 2 | 쓰기(수정 가능) |
x (execute) | 1 | 실행, 디렉터리 이동 가능 |
- 8진수인것과 문자모드의 숫자를 확인 할 수 있다.
연산자 설정
연산자 설정 | 의미 |
+ | 권한을 추가 할 때 사용 |
- | 권한을 삭제 할 때 사용 |
= | 권한을 지정 할 때 사용 |
자주 사용하는 옵션
옵션 | 설명 |
-R 또는 --recursive | 재귀적으로 하위 폴더까지 권한 변경 |
예시
빨간네모 지정한 곳에 보면 해당 파일 유형과 권한을 알 수 있다.
기호 | 파일 유형 |
- | 일반파일 |
d | 디렉터리 |
b(block) | 저장장치(하드디스크, CD 등) |
c(char) | 문자장치(키보드, 마우스 등) |
l | 링크파일 및 디렉터리(바로가기) |
s | 소켓(특정 프로그램 소켓(네트워크 통신) 파일) |
소유자 | 그룹 | 기타 유저 | |||||||
문자 | r | w | x | r | - | - | - | - | - |
숫자 | 4 | 2 | 1 | 4 | - | - | - | - | - |
위 사진의 chmod u=rwx,g=r,o-r private.txt는 chmod 740 private.txt와 같다. |
chown(change owner)은 파일 및 디렉터리를 소유자 및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다.
* chgrp로 그룹 소유권 변경 할 수 있다.
# chown [옵션] [소유자]:[그룹] 파일 및 디렉터리 또는 경로 ex) chown -R worker:dev project |
자주 사용하는 옵션
옵션 | 설명 |
-R 또는 --recursive | 재귀적으로 하위 폴더까지 소유자 및 그룹 변경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