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 13

Linux umask 명령어

umask는 새로 생성될 때 마다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권한 값을 지정하는 명령어다. 명령어 형식 umask [옵션] umask [값] 자주사용하는 옵션 옵션 설명 -S 현재 umask 값을 문자로 표시 ※ 리눅스에서는 파일의 기본 권한 값은 666, 디렉터리 기본 권한 값은 777이다. 위 사진에 umask 값이 두 번째 자릿수 부터 보면 022로 되어있는데 파일을 만들게 되면 666-022가 되어서 644가 된다. 디렉터리는 777-022가 되서 755가 된다. example 디렉터리 권한 값 = 755 (rwx=7 rx=5) text 파일 권한 값 = 644 (rw=6 r=4) rwx가 뭔지 잘 모르겠다면 아래 링크 접속 Linux chmod 및 chown 명령어 chmod(change file m..

리눅스/명령어 2021.02.07

Linux chmod 및 chown 명령어

chmod(change file mode bits)의 약자로 8진수로 파일 및 디렉터리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다. # chmod [옵션] [모드] [파일 또는 디렉터리] ex) chmod -R u=rwx,g=rx,o=r project ex) chmod -R 754 project - R옵션은 디렉터리 때 사용. 유저 지정 유저 지정 의미 u (the user who own) 소유자로 권한 지정 g (group) 파일소유 group의 소속된 유저 권한 지정 o (other users) 기타 다른 유저 권한 지정 a (all users) 모든 유저 지정(u,g,o) 문자 및 8진수 모드로 권한 지정 문자 모드 8진수 모드 의미 r (read) 4 읽기 w (write) 2 쓰기(수정 가능) x (execute..

리눅스 2021.02.04

Centos7 vsftpd 설치

1. vsftpd 설치 및 설정 # yum -y install vsftpd # vi /etc/vsftpd/vsftpd.conf anonymous_enable=YES -> anonymous_enable=NO local_umask=022 -> local_umask=002 // 파일을 서로 수정하는일도 있을수도 있기 때문에 002로 설정 #chroot_local_user=YES -> chroot_local_user=NO // 앞에 #삭제 #chroot_list_enable=YES -> chroot_list_enable=YES // 앞에 #삭제 listen=NO -> listen=YES listen_ipv6=YES -> listen_ipv6=NO 밑에 부터는 추가 pasv_enable=YES pasv_min_p..

리눅스/Centos7 2021.02.01

Linux mkdir명령어

mkdir은 make directories의 약자로 디렉터리 생성 할 때 쓰는 명령어다. 옵션에는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다. 옵션 설명 -p 또는 --parents 디렉터리 생성시 상위 디렉터리 생성 -m 또는 --mode 디렉터리 생성시 접근권한 설정 -v 또는 --verbose 디렉터리 생성한 내용을 커널에 출력 기본 생성 예 # mkdir dir1 상위 디렉터리 생성 # mkdir -p parent/child 디렉터리 생성시 접근권한 설정 # mkdir -m 700 dir2 # mkdir -m 755 dir3 디렉터리 생성한 내용을 커널에 출력 # mkdir -v dirv1 dirv2

리눅스/명령어 2021.01.23

bind(nameServer) zone파일 설명

# cd /var/named/chroot/var/named/ [root@master named]# vi example.com.zone $TTL 86400 @INSOAns1.example.com. root.example.com. ( 2020112911; 시리얼 값 (년월일시간)으로 설정 3H; 보조 네임서버가 주 네임서버에 접속하는 시간 15M; 접속 실패시 다시 시도할 시간 간격 1W; 주네임서버에서 데이터가 없다면 1주후 삭제 1D; 위에서 설정한 TTL값과 같은 뜻 ); INNSns1.example.com.; 도메인을 소유한 주 DNS 도메인 INNS ns2.example.com.; 도메인을 소유한 보조 DNS 도메인 INMX10 mail1.example.com.; 메일 사용할 경우 INMX20 ma..

리눅스/Centos7 2021.01.17

Centos7 PHP8.0 binary 설치

# apache와 mariadb설치가 먼저 되어있어야합니다. # palette-code.tistory.com/1 palette-code.tistory.com/5 Centos7 apache2.4 설치 1. 필요한 패키지 설치 [root@localhost ~]# yum -y install wget gcc-c++ pcre-devel expat-devel 2. apache 내려받기 및 apr파일 복사 [root@localhost ~]# wget http://archive.apache.org/dist/httpd/httpd-2... palette-code.tistory.com Centos7 MariaDB10.4 binary 설치 1. 필요한 패키지 설치 # yum -y install wget gcc-c++ open..

리눅스마스터 2급 합격 후기

리눅스마스터 2급 후기 및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. 1차는 온라인으로 응시하고 운전면허필기 볼 때와 비슷하게 봅니다. 책보면서 응시가 가능합니다. 기억안나는문제는 책을 찾아서 보는것도 좋지만, 전에 응시하셨던 분들께서 족보라는것을 만들었는데 다른 블로그에 가면 "리눅스마스터 2급 1차 족보" 이런식으로 한글파일을 올려주신분이 많습니다. 족보파일을 다운받고 시험 때 모르는 문제있을 때 마다 각 문제의 핵심 키워드를 Ctrl+F로 찾기 하면 됩니다. 그래도 없다면 구글링해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. 2차는 문제집 뒷쪽에 기출문제가 있는데, 시험보기 7주일 이내 푸는것은 좀 비효율적입니다. 많이 읽고 외워도 머리에 잘 안들어오기 때문에 2번 쭉 읽고 기출문제 푸는것을 추천드립니다. 처음 기출문제 풀때..

리눅스/자격증 2020.12.27